본문 바로가기

제53호(2013.9)/도서관 활용백서

도서관 활용백서

 

논문 준비, 보고서 작성을 위해,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고 읽어본 많은 자료들을 나만의 공간에 모아서 주제별로 용도별로 정리하고 싶지 않나요? 자료를 검색하다가 “아! 이 자료는 다음에 또 봐야지!” 했던 그 자료, 다시 찾으려니 기억이 나지 않았던 경험은 없으신가요?

이번 호에서는 여러분의 많은 자료에 대한 정보를 모아서 관리할 수 있는 개인용 서지관리도구인 RefWorks와 EndNote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서지정보란 어떤 자료로 접근할 수 있는 서명, 저자, 출판사, 출판년, 수록저널명, 수록권호정보 등의 기본정보를 말하며, 서지관리도구는 내가 검색했던 자료들에 대한 각종 정보들을 모아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로 다음과 같은 대표적인 기능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참고문헌 수집

자료 검색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RISS를 비롯하여 ProQuest (PQDT, ERIC, PsycINFO, 등), EBSCOHost(Academic Search Complete, Business Source Complete, 등), JSTOR, Web of Science, 구글 학술검색 등의 많은 데이터베이스와 전자저널 페이지에서 검색한 자료에 대한 정보를 내 계정(RefWorks) 혹은 내 PC(EndNote)에 클릭 몇 번으로 모아놓을 수 있습니다. 물론, 직접 입력할 수도 있습니다.

 

2)   참고문헌 관리

나만의 데이터들을 용도와 주제에 따라서 구분하여 정리할 수 있고, 검색하여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자료를 수정 혹은 기억하고 싶은 내용을 메모할 수 있으며, 저장이 가능한 원문파일이나 관련된 파일이 있을 경우에 파일을 첨부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참고문헌 활용

서지관리도구를 이용하시는 분들이 가장 매력적으로 느끼는 기능은 학회, 저널의 형식에 맞추어 인용·참고문헌 리스트를 자동으로 생성해 주는 기능입니다.
※ 주의 : 반드시 학회, 저널, 학과에서 사용하는 스타일을 확인하고 제대로 생성되었는지 확인하고 수정해 주어야 합니다.

 

따라서 서지관리도구란, 논문을 쓰기 위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류하고, 메모하고, 인용하고, 참고문헌 리스트를 정리하는 것까지 시간과 노력을 낭비하지 않도록 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도서관에서는 서지관리도구로 RefWorks만을 지원하고 있었으나 올해부터 EndNote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내가 사용하기에 보다 편리한 프로그램은 어느 쪽일까요? 가장 큰 차이점 2가지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RefWorks는 사이트에 내 계정을 생성하고 그 계정에 데이터를 모으고 관리하도록 되어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인터넷이 연결되어 있어야만 이용가능 하지만, 언제든지 같은 자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EndNote는 내 PC에 설치를 하고 PC 드라이브에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따라서 인터넷이 연결되지 않을 때에도 참고문헌들을 검색하고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작업하는 PC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이 필요합니다.

나는 학교에서 사용하는 PC와 집에서 사용하는 PC, 회사에서 사용하는 PC가 달라서, 어디서든 자료를 이용하고 싶다! 하는 경우에는 RefWorks가 좀더 편하고, 나는 항상 노트북을 가지고 다녀서 모든 자료는 내 노트북에 모아놓고 싶다! 하는 경우에는 EndNote의 기능이 편리할 수 있습니다.

논문과 보고서 등을 작성하기 위한 문서편집 프로그램과의 연동 역시 차이를 보입니다. RefWorks의 경우 MS Word와 아래아 한글에 대한 WriteNcite 기능을 제공하고 있어서 한글에서 바로 RefWorks 계정에 있는 자료를 인용하거나, 참고문헌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EndNote의 경우 아래아 한글로 작성, 제출해야 하는 논문일 경우에는 변환이 필요합니다.

추가로 서지관리도구 선택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참고문헌 양식의 제공입니다. 내가 작성해야 하는 참고문헌 양식을 얼마나 지원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선택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두 프로그램 모두 참고문헌 스타일 편집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 스스로 새로운 참고문헌 양식을 만들어서 사용하기는 힘듭니다. 보편적으로 RefWorks가 EndNote에 비해 국내학술지 참고문헌 작성 양식을 조금 더 지원하고 있으며, EndNote는 국제적인 대표 학술지에 대한 양식이 보다 탄탄한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다시 한번 강조 하고 싶은 것은 프로그램에서 생성해주는 참고문헌 양식은 어디까지나 보조적인 기능으로 사용하시고 스스로 꼼꼼하게 논문 작성  양식을 확인하고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특징을 바탕으로 나에게 적합한 도구를 선택하여 이용하시기를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의학 및 이공계 전공자 분들이 EndNote 이용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RefWorks 계정을 만들고, EndNote를 설치하여 간단히 이용해 본 후 더 편리한 쪽을 선택할 수도 있겠지요?

보다 자세한 사용방법과 특징은 이용 매뉴얼을 참고하시고, 9월에 있는 도서관 이용교육을 통해 살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이번 호에서는 RefWorks와 EndNote를 이용하실 수 있도록 기본적인 시작방법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RefWorks는 먼저 도서관 홈페이지에 로그인 한 후 [전자자료-데이터베이스]에서 RefWorks 링크를 찾아 클릭합니다.

 

 

계정을 만들 때에는 Ewha Womans University 기관표시가 되어 있는지 확인한 후 새 계정 등록을 통해 나만의 아이디를 만들어주세요. 등록한 이메일 주소는 꼭 기억하시고, 아이디를 이메일 주소로 사용해도 됩니다. 계정생성이 완료되면 RefWorks화면으로 로그인되며, 동시에 등록한 이메일로 RefWorks의 이화여대 기관코드와 함께 내 계정 정보가 발송됩니다. 로그인 정보를 잊었을 때에도 등록한 이메일 주소 정보를 통해서 계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DB에서 Refworks로 자료를 반입하는 방법은 RefWorks 매뉴얼과 각각의 DB 매뉴얼을 참고하세요. 폴더는 자유롭게 생성할 수 있으며, 하위폴더는 1수준까지 가능합니다.

논문 작성시 RefWorks의 자료를 인용, 참고문헌리스트에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도구] 메뉴에서 Write-N-Cite를 다운받아 설치하여 이용합니다.

 

 

MS-Word 버전을 설치하면 MS-Word 프로그램에 RefWorks 리본이 생성됩니다. 아래아 한글을 위한 버전은 Other Versions의 가장 아래에 있으며, 2007 이상 버전에서 사용가능 합니다. 설치 후 바탕화면에 Write-N-Cite 한글 아이콘이 생겨요. 이 아이콘을 실행하면 내 RefWorks 계정과 연동되는 창과 함께 한글 프로그램이 실행됩니다.

보다 상세한 RefWorks의 이용에 대해서는 RefWorks 이용 매뉴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EndNote는 도서관 홈페이지에 로그인 한 후 [전자자료-데이터베이스]에서 EndNote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설치하여 이용합니다.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 하여 설치 하시기 바랍니다.

 

 

 

Windows용 파일을 설치하실 때에는 반드시 설치파일을 다운로드(저장) 받으시고 압축을 해제 한 후 설치하시기 바랍니다. 저장과 압축해제 없이 실행하시면 Licence 입력 요청이 있을 수 있습니다. Microsoft Office(Outlook, Word, Excel 등)을 모두 끈 상태에서 진행하여야 설치할 수 있습니다.

 

 

설치 시 Select Installation Type 메뉴에서 "Custom"을 선택한 후 Additional Filters와 Additional Styles를 Will be installed on local hard drive로 세팅하면 여러 가지의 필터와 스타일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EndNote를 설치한 후 가장 먼저 실행할 것은 나만의 데이터베이스(서재-Library)를 만들어 주어야 합니다. EndNote의 Library는 EndNote로 반입되는 개별 서지정보인 Reference를 모아서 관리하는 폴더로 파일명.enl 파일로 생성됩니다. 동일한 위치에 동일한 이름으로 파일명.data 폴더가 함께 생성되며, 이 둘은 항상 함께 움직여야 합니다.

Library를 생성한 후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레퍼런스를 반입/생성하여 관리할 수 있습니다. 보다 상세한 EndNote의 이용에 대해서는 EndNote 이용 매뉴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fWorks나 EndNote를 사용하기에 부담스러운 학부생의 경우에는 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내서재 기능과 RISS에서 제공하는 내서재 기능 등을 활용하여 나만의 데이터를 모아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1)   도서관 홈페이지 내서재

 

도서관 홈페이지의 내서재 기능은 도서관 소장자료에 대하여 자료를 모아놓을 수 있는 기능입니다.

[도서관 홈페이지-MyELIS-내서재]로 들어가면 현재 내가 대출중인 자료와 이전 대출 내역 등을 기본적으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읽고 싶은 책 카테고리는 내서재 관리메뉴에서 카테고리를 수정, 생성하여 나만의 데이터를 모아 관리할 수 있는 도구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내서재 관리메뉴-책장관리]로 들어가서 큰책장과 작은책장을 생성하거나 관리 할 수 있습니다. 책장을 공개하여 梨서재에서 공유할 수도 있고, 비공개로 나만의 데이터로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

책장을 생성한 후에는 도서관에서 검색한 자료를 내서재에 담아놓을 수 있습니다. 도서관에서 검색한 자료의 상세정보에서 [내서재] 아이콘을 클릭하여 책장을 지정해 주거나, 검색결과에서 원하는 자료를 선택한 후 [선택레코드 넣기]를 이용 선택레코드 화면에서 내서재에 저장합니다.

 

2)    RISS 내서재

 

국내자료 검색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RISS에서도 내서재 기능을 제공합니다.

RISS의 내서재 기능은 RISS에서 검색되는 자료에 한하여 자료를 모아 관리할 수 있으며, 반드시 개인계정을 생성하고 로그인하여 이용하여야 합니다.

 

 

RISS 자료 검색 후 자료유형별 검색결과 더보기 혹은 상단의 자료유형 탭을 선택하면 검색결과를 내보내기 하거나 내서재 담기 할 수 있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내서재 담기 창에서 기본책장에 담기 하거나, 나만의 책장을 만들어 자료를 담아놓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각각의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개인계정으로 로그인할 경우 나만의 자료를 모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다양한 자료를 검색하고 이용해야 하는 연구자는 체계적인 자료 관리를 위한 RefWorks와 EndNote 등의 서지관리도구를 사용하여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